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엘비문화살롱} 생상스 <죽음의 무도 >:해골들이 덩실덩실 춤추는 음악이 궁금하다면,

Camille Saint-Saëns (1835년 10.09~1921 12.16)(왼쪽)




죽음의 무도》:는 1874년 프랑스의 작곡가 카미유 생상스(Camille Saint-Saëns)가 작곡한 교향시로 이 곡은 시인 H .카잘리스가 오래된 프랑스 괴담을 바탕으로 쓴 시에서 영감을 얻어 1872년에 작곡된 곡입니다.

-《착각》(l'Illusion)에 수록된 H .카잘리스의 시-

지그, 지그, 지그, 죽음의 무도가 시작된다.
발꿈치로 무덤을 박차고 나온 죽음은,
한 밤중에 춤을 추기 시작한다.
지그, 지그, 재그, 바이올린 선율을 따라.

겨울 바람이 불고, 밤은 어둡고,
린덴 나무에서 신음이 들려온다.
하얀 해골이 제 수의 밑에서 달리고 뛰며,
어둡고 음침한 분위기를 건넌다.

지그, 지그, 지그, 모두들 뛰어 돌며,
무용수들의 뼈 덜그럭거리는 소리 들려온다.
욕정에 들끊는 한 쌍 이끼 위에 앉아
기나긴 타락의 희열을 만끽한다.

지그, 지그, 지그, 죽음은 계속해서,
끝없이 악기를 할퀴며 연주를 한다.
베일이 떨어진다! 한 무용수 나체가 된다.
그녀의 파트너가 요염하게 움켜잡는다.

소문에 그 숙녀가 후작이나 남작 부인이란다.
그녀의 용감한 어리석은 달구지 끄는 목수.
무섭도다! 그녀는 저 촌뜨기가 남작인 마냥
자기를 그에게 어떻게 허락한다.

지그, 지그, 지그. 사라반드 춤!
죽음이 모두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춤춘다.
지그, 지그, 재그. 군중 속에 볼 수 있는
농부 사이에서 춤을 추는 왕.

하지만 쉿! 갑자기 춤은 멈춘다,
서로 떠밀치다 날래게 도망친다; 수탉이 울었다.
아, 이 불행한 세계를 위한 아름다운 밤이여!
죽음과 평등이여 영원하라!


제목 그대로 죽은자의 춤(Dance of the dead)을 그린 곡입니다. 이곡의 기원은 1424년~1425년 사이에 그려진 그림이 최초이며, 이 이후에도 위와 같은 그림이 많이 그려졌다고 합니다. 다소 섬뜩한 제목과는 달리 음악의 분위기는 밝고 경쾌한 편인데, 이곡은 무덤에서 해골들이 일어나서 덩실 덩실 춤추고 노는 모습을 우스꽝스럽게 표현하는 것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중세 시대 100년 전쟁과 페스트로 인한 전염병으로 당시 중세인들은 죽음에 대한 공포를 가지고 있었고 이를 극복하고자 죽음 자체를 삶의 보편적인 현상으로 보는 풍속이 생겨 나면서 유행합니다. 그리하여 삶이 얼마나 허무한지 현세의 삶과 영광이 얼마나 헛된것이지를 보는 이로 부터 일깨우려 함에 있죠. 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타고 제 블로그<춤추는 소피아>에 놀러와 주세요~


종소리가 열두번 울리는 것으로 곡이 시작되면 죽음의 신이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것을 시작으로 각종 해골과 유령들이 무덤에서 일어나 끼어들며 왁자지껄하게 춤을 춥니다. 클라이맥스에서 수탉이 울어 새벽을 알리자 해골들이 황급히 무덤으로 뛰어들어가는 것으로 춤이 끝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음악 중간에 실로폰 소리가 들리는데, 이는 해골들의 뼈마디가 부딪히는 소리를 표현한 것이라 합니다. 감상해보시죠.


이러한 '유령과 악마 등 초자연적 존재들이 밤중에 춤을 추다가 새벽이 되자 무덤으로 돌아가 잠든다는' 내용의 전설은 '민둥산의 하룻밤' 및 이를 애니메이션으로 만든 디즈니 환타지아를 비롯한 여러 작품들에서 모티브가 되기도 하죠

훗날 이 곡은 1886년에 작곡된 생상스의 그 유명한 동물의 사육제 중에서 제12곡 '화석'의 주 멜로디로 살짝 편곡되어 쓰이기도 합니다. 한국에서는 2008-2009시즌 김연아의 피겨스케이팅 쇼트프로그램을 통해 매우 유명해졌으며, LG 시그니처 세탁기 광고에도 쓰이기도 했습니다. 게임 덕후들은 '어둠속에 나홀로'라는 호러게임에서 통해서 접하기도 했을텐데요. 당시 아이템을 얻는 주요 키 포인트 장면에서 게임의 음산함을 고조시키는 화룡점정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blog.naver.com/soosunwhoa5/221978009463

춤추는 소피아 : 네이버 블로그

때론 평범하게 때론 평범하지 않게 때론 자유롭게 때론 자유롭지 않게

blog.naver.com


<본문참고>
죽음의 무도_(생상스) _위키백과 참조
죽음의 무도(교향시)_나무위키 참조